글짓기/우리말14 율/률 구분 율 모음 혹은 ㄴ받침 뒤 비율 선율 률 그 외 승률 확률 2023. 3. 28. 만큼 띄어쓰기 의존명사(띄어 쓸 경우) 관형사형 어미 ‘-은’, ‘-는’, ‘-을’ 뒤에 쓰여, 그와 같은 정도나 한도를 나타내는 말. 먹을 만큼만 덜어가세요. 날아갈 만큼 행복해요. 관형사형 어미 ‘-은’, ‘-는’, ‘-을’ 뒤에 쓰여, 원인이나 근거의 뜻을 나타내는 말. 어제부터 아무것도 먹지 못한 만큼 배가 무척 고파요. 열심히 준비한 만큼 후회는 없어요. 조사(붙여 쓸 경우) 체언의 뒤에 붙어, 비교의 대상과 거의 비슷한 정도임을 나타내는 보조사. 닭강정도 딤섬만큼 매력적인 음식이에요. 솜사탕만큼 부드러워요. 2023. 3. 12. 데 활용법 의존명사 임의의 장소를 나타내는 말 조용한 데로 가주세요. 일반적인 어떤 상황이나 특정한 경우를 나타내는 말 이런 데에서는 조용히 해야 해요. 앞에서 말한 바로 그 일이나 그 사실을 나타내는 말 딤섬의 매력은 그 가짓수가 많다는 데에 있어요. 한 전체에서 특정한 부분적 측면을 나타내는 말 그 아이는 엉뚱하지만 기발한 데가 있어요. 임의의 대상을 나타내는 말 이 식당으로 말하자면 이만한 데가 없어요. 종결어미 용언이나 ‘이다’의 어간 또는 선어말 어미 ‘-으시-’, ‘-었-’, ‘-겠-’의 뒤에 붙어, 자신이 과거에 경험한 사실을 회상하여상대에게 일러 주는 뜻을 나타내는 말. 하게체로, 주로 구어체에 쓰인다. 이 동네에선 저 식당이 맛있데. 2023. 3. 10. 대로 띄어쓰기 의존명사(띄어 쓸 경우) 관형사형 어미 ‘-은’, ‘-는’, ‘-을’ 뒤에 쓰여, 앞말이 뜻하는 바와 같이의 뜻을 나타내는 말 들리는 대로 적으세요. 원래 있던 대로 돌려놓으세요. 관형사형 어미 ‘-는’ 뒤에 쓰여, 어떤 상태나 행동이 나타나는 그 즉시의 뜻을 나타내는 말 도착하는 대로 연락하세요. 상처가 아무는 대로 내원하세요. 관형사형 어미 ‘-는’ 뒤에 쓰여, 일이 일어나는 그때마다의 뜻을 나타내는 말 딤섬을 먹는 대로 행복해져요. 식물을 키우는 대로 죽어서 이젠 키우지 않아요. 관형사형 어미 ‘-을’ 뒤에 쓰여, 그 정도가 더함을 나타내는 말. 먹을 대로 먹었어요. 놀 대로 놀았어요. ‘-을 수 있는 대로’의 구성으로 쓰여, 할 수 있는 만큼 최대한의 뜻을 나타내는 말. 할머니, 할 수 있는 대로.. 2023. 3. 8. 사이시옷 용례 및 예외 사이시옷이 있는 경우 한자어 + 우리말 : 제삿날 등 우리말 + 우리말 : 냇가, 촛불, 냇물, 나뭇잎 등 한자어 + 한자어의 예외 : 곳간, 셋방, 숫자, 찻잔, 툇간, 횟수 사이시옷이 없는 경우 한자어 + 한자어 : 개수(갯수x) 2023. 2. 14. 간식과 군음식 “아까 간식을 너무 많이 먹어서 그런지 아직도 배불러.” 간식(間食)의 순화어는 군음식 또는 새참이며, 한자는 間(사이 간)과 食(밥 식)을 사용합니다. 일본어로 칸쇼쿠(かんしょく)라고 읽습니다. 일본식 한자이며 우리나라와 같은 끼니와 끼니 사이에 음식을 먹음을 뜻 합니다. “새참을 얼마나 먹은거니?” 2022. 11. 3. 가출과 집 나감 “너 가출해 본 적 있어?” 가출(家出)의 순화어는 집 나감입니다. 한자로 家(집 가)와 出(나갈 출)을 사용하며, 일본어 발음은 이에데(いえで)입니다. “한 번도 집 나가 본 적 없어.” 2022. 11. 2. 가오와 체면 “가오 잡지 마라.” 가오(顔)의 순화어는 체면 또는 얼굴입니다. 한자로 顔(낯 안)을 사용하며, 일본어 발음은 카오(かお)입니다. 비슷한 말로 폼을 잡다가 있는데 여기서 폼은 방식을 뜻하는 form입니다. “나 체면 차린 척 없거든?” 2022. 11. 1. 가불과 임시 지급 “회사에 전화해서 가불해달라고 해야겠어” 가불(假拂)의 순화어는 임시 지급이며, 한자는 假(거짓 가)와 拂(떨칠 불)을 사용합니다. 일본어로 가리바라이(かりばらい)라고 읽습니다. “임시 지급을 한다고? 무슨 일 있니?” 2022. 10. 3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