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역학5 운동 법칙과 운동량(7) : 관성 법칙과 작용-반작용 법칙의 차이 세번째 법칙(작용-반작용 법칙)에서 전봇대와 사람 둘다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첫번째 법칙(관성 법칙)에서의 정지 상태와는 다르다. https://lifesari.tistory.com/429 https://lifesari.tistory.com/431 우선 알짜힘이 0일 때 물리학에서는 평형을 이루었다고 하는데, 첫번째 법칙에서는 알짜힘이 0인 평형을 다루며 마찬가지로 세번째 법칙에서도 사람과 전봇대가 정지 상태이니 각각은 평형을 이루고 있다. 다만, 세번째 법칙은 각각의 물체를 다루지 않고 서로에 대해 다루며, 알짜힘에 대해 다루기보다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줌을 나타내는 법칙이다. 이러한 작용-반작용은 항상 쌍으로 존재하고, 동시에 발생하며,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다. 무엇보다도 힘의 .. 2023. 5. 27. 운동 법칙과 운동량(6) : 작용-반작용 법칙 세번째 법칙은 작용-반작용 법칙으로, ‘만약 A물체가 B물체에게 힘을 가하면, B물체도 같은 크기이면서 방향이 반대인 힘을 A물체에게 가한다.’ 힘에는 크기, 방향, 작용점이 있어야 함을 앞서 살펴보았다. https://lifesari.tistory.com/426 위 그림에서 사람이 10N의 크기로 오른쪽으로 전봇대를 밀었을 때의 힘은 다음과 같다. 크기 : 10N 방향 : 오른쪽 작용점 : 손 닿는 부분(전봇대) 즉, 전봇대의 입장에서는 손 닿는 부분으로 10N 크기의 힘을 오른쪽으로 받는다. 반대로 사람 입장에서는 다음과 같다. 크기 : 10N 방향 : 왼쪽 작용점 : 손 닿는 부분(손) 만약 사람에게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사람은 바닥을 차서 발생시킨 10N의 힘을 갖고 운동 법칙(F=ma)에.. 2023. 5. 25. 운동 법칙과 운동량(5) : 가속도 법칙 두번째 법칙은 가속도 법칙으로, ‘물체에 작용하는 알짜힘이 0이 아니면 알짜힘의 방향으로 가속도가 생기며, 가속도의 크기는 작용한 힘의 크기에 비례하고 물체의 질량에 반비례한다.’ 이 공식은 '질량이 1Kg인 물체에 힘이 작용하여 1m/s^2의 가속도가 생겼을 때, 이 때 작용한 힘의 크기를 1N'이라고 정의한다. 예를 들어, 질량이 60Kg인 사람에게 가해지는 힘은 지구의 중력가속도(약 10m/s^2)를 곱하여 구하며, 600N이다. 이때 무게는 힘의 크기를 나타내기 때문에 몸무게가 몇 Kg이냐고 묻는 것은 엄밀하게 말하여 오류이며, 몇 N이냐고 물어야 맞다. 참고로 Kg은 질량의 단위로, 몸의 질량이 몇 Kg이냐고 묻는 것은 맞는 표현이다. 2023. 5. 23. 운동 법칙과 운동량(4) : 관성 법칙 첫번째 법칙은 관성 법칙으로, ‘어느 물체에 작용하는 알짜힘이 0이면 물체는 정지 상태나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상태를 유지한다.’ 慣 : 버릇 관 性 : 성질 성 앞서 알짜힘에 대해 다루었는데, 알짜힘이 0이라는 것은 물체에 가해지는 힘들의 합이 0이라는 뜻이다. https://lifesari.tistory.com/427 예를 들어, 줄다리기를 할 때 양쪽에서 같은 힘으로 당기면 줄은 가만히 정지상태를 유지하며, 또한 마찰력만큼의 힘을 마찰력의 반대방향으로 계속 가하면 움직이는 물체는 일정한 속도의 운동(등속도 운동)을 유지한다는 의미이다. https://lifesari.tistory.com/422 2023. 5. 21. 운동 법칙과 운동량(3) : 고전 역학 力 : 힘 역 學 : 배울 학 역학은 말그대로 힘에 대한 학문이다. 고전 역학(classical mechanics)은 다음과 같이 '뉴턴의 운동 법칙' 세 가지가 핵심이며, 고전 역학을 이에 큰 공을 세운 뉴턴의 이름을 따서 ‘뉴턴 역학’이라고도 부른다. 관성 법칙 가속도 법칙 작용-반작용 법칙 2023. 5.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