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빅뱅 이론2

우주론과 기본 상호 작용(3) : 빅뱅 이론의 증거 그 뒤로 미국의 천문학자 허블은 천체 망원경으로 은하의 운동을 관찰하다가 은하의 적색 편이 현상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은하가 팽창하고 있음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발견이었다.(여기서 적색 편이 현상이란, 빛이 점점 멀어질 때, 관측되는 빛의 파장이 길어지는 효과로, 멀어지는 별에서 나오는 스펙트럼선이 전반적으로 파장이 긴 적색 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로부터 허블은 ‘우리 은하로부터 멀리 떨어진 은하들의 후퇴 속도는 우리 은하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비례한다.’는 허블 법칙을 만들었고 수식으로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여기서 r은 우리 은하로부터 다른 은하까지의 거리이고, v는 다른 은하가 멀어지는 속력을 뜻한다. H0는 허블 상수라고 말하지만, 사실은 상수가 아니라 그 값이 계속 변한다. 이러한 허.. 2023. 7. 26.
우주론과 기본 상호 작용(2) : 빅뱅 이론 지금부터 현대의 우주론에서 가장 설득력을 얻고 있는 대폭발(Big Bang) 우주론에 대해 알아보자. 대폭발 우주론이란, 과거 어느 시점에 우주의 모든 질량과 에너지가 한 점에서 폭발하여 팽창하면서 우주와 시공간이 생겼다는 우주론이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등장한 이후, 현대 물리학은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시공간의 구조나 시간적 흐름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기 시작하면서, 우주에 대한 해석 또한 변하게 되었다. 러시아의 물리학자 프리드만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을 최초로 우주에 적용하여 우주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이끌어냈는데, 크게 세 가지 형태의 우주가 가능하다고 제안하였다.(현대의 우주는 평평한 우주이면서, 축소되지 않을 정도로만 가속 팽창하고 있다고 관측된다.) 닫힌 우주 : 팽창.. 2023. 7.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