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애착2

[13~36개월] 세 살 버릇이 여든가는 이유 대략 12개월부터 형성되는 애착 관계의 형태는 대략 36개월을 전후로 정해진다. 이렇게 형성된 애착 관계의 형태에 따라 뇌의 사고 흐름이 구성되고, 이는 곧 성격이 정해짐을 의미한다. 이후로는 성격(또는 사고 흐름)을 바꾸기 위해 이때까지의 자극을 합친 것보다 더 큰 자극을 뇌에 가해야 하는데, 웬만해서는 일생에서 이토록 큰 자극을 마주하는 경우가 별로 없다. 따라서 세 살 버릇, 즉 세 살까지 형성된 성격이 여든 평생가게 된다. 애착 관계의 형태를 구성하는 과정에서는 부모의 역할이 무척 중요한데, 다음이 핵심이다. 아이가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하게 알고, 기민하게 반응하며, 일관되게 행동하여야 한다. 애착 관계가 올바르게 형성되지 않으면 자라면서 대인 관계(사회성)에 문제가 드러날 수 있고, 감정 조절이.. 2022. 3. 3.
[0~12개월] 누구나 기본적으로 충족되어야 하는 감정 자존감. 갈수록 더욱 중요시되는 단어로, 인간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수록 부각되고 있다. 이는 인간을 구성하는 매우 근본적인 요소이며, 세상을 독립적이며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올바로 형성되어야 한다. 특정 개체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린 시절의 경험이 무척이나 중요한데, 어린 시절 충분한 사랑을 받아야 자존감이 높아질 수 있다. 이는 마치 건물의 기초와 같아서, 어린 시절에 제대로 다져지지 않으면 커서도 많은 문제를 불러올 수 있고, 이를 늦게 보수하려 할수록 더욱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충분한 사랑을 주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말 그대로 "무조건적인 사랑"을 퍼주는 것이다. 12개월까지 아이가 원하는 것은 무조건 들어주면 되는데 혹여나 버릇이 나빠질까 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어차피.. 2022.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