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7 율/률 구분 율 모음 혹은 ㄴ받침 뒤 비율 선율 률 그 외 승률 확률 2023. 3. 28. 만큼 띄어쓰기 의존명사(띄어 쓸 경우) 관형사형 어미 ‘-은’, ‘-는’, ‘-을’ 뒤에 쓰여, 그와 같은 정도나 한도를 나타내는 말. 먹을 만큼만 덜어가세요. 날아갈 만큼 행복해요. 관형사형 어미 ‘-은’, ‘-는’, ‘-을’ 뒤에 쓰여, 원인이나 근거의 뜻을 나타내는 말. 어제부터 아무것도 먹지 못한 만큼 배가 무척 고파요. 열심히 준비한 만큼 후회는 없어요. 조사(붙여 쓸 경우) 체언의 뒤에 붙어, 비교의 대상과 거의 비슷한 정도임을 나타내는 보조사. 닭강정도 딤섬만큼 매력적인 음식이에요. 솜사탕만큼 부드러워요. 2023. 3. 12. 데 활용법 의존명사 임의의 장소를 나타내는 말 조용한 데로 가주세요. 일반적인 어떤 상황이나 특정한 경우를 나타내는 말 이런 데에서는 조용히 해야 해요. 앞에서 말한 바로 그 일이나 그 사실을 나타내는 말 딤섬의 매력은 그 가짓수가 많다는 데에 있어요. 한 전체에서 특정한 부분적 측면을 나타내는 말 그 아이는 엉뚱하지만 기발한 데가 있어요. 임의의 대상을 나타내는 말 이 식당으로 말하자면 이만한 데가 없어요. 종결어미 용언이나 ‘이다’의 어간 또는 선어말 어미 ‘-으시-’, ‘-었-’, ‘-겠-’의 뒤에 붙어, 자신이 과거에 경험한 사실을 회상하여상대에게 일러 주는 뜻을 나타내는 말. 하게체로, 주로 구어체에 쓰인다. 이 동네에선 저 식당이 맛있데. 2023. 3. 10. 대로 띄어쓰기 의존명사(띄어 쓸 경우) 관형사형 어미 ‘-은’, ‘-는’, ‘-을’ 뒤에 쓰여, 앞말이 뜻하는 바와 같이의 뜻을 나타내는 말 들리는 대로 적으세요. 원래 있던 대로 돌려놓으세요. 관형사형 어미 ‘-는’ 뒤에 쓰여, 어떤 상태나 행동이 나타나는 그 즉시의 뜻을 나타내는 말 도착하는 대로 연락하세요. 상처가 아무는 대로 내원하세요. 관형사형 어미 ‘-는’ 뒤에 쓰여, 일이 일어나는 그때마다의 뜻을 나타내는 말 딤섬을 먹는 대로 행복해져요. 식물을 키우는 대로 죽어서 이젠 키우지 않아요. 관형사형 어미 ‘-을’ 뒤에 쓰여, 그 정도가 더함을 나타내는 말. 먹을 대로 먹었어요. 놀 대로 놀았어요. ‘-을 수 있는 대로’의 구성으로 쓰여, 할 수 있는 만큼 최대한의 뜻을 나타내는 말. 할머니, 할 수 있는 대로.. 2023. 3. 8. 당고와 경단 “당고를 여러 개 먹어서 그런지 배가 부르다.” 당고(団子)의 순화어는 경단이며, 한자는 団(둥근 단)과 子(아들 자)를 사용합니다. 일본어로 단고(だんご)라 읽습니다. 참고로, 한식인 경단(瓊團)과 일식인 당고(団子)는 사뭇 다른 음식입니다. “너는 경단으로 배가 차니? 나는 배가 전혀 부르지 않아.” 2022. 10. 28. 도쿠리와 조막병 "마지막으로 도쿠리 하나만 더하자고." 도쿠리(徳利)의 순화어는 조막병이며, 한자는 徳(큰 덕)과 利(이할 리)를 사용합니다. 일본어로 도쿠리(とくり)라 읽습니다. 참고로, 도쿠리는 긴목셔츠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빈 조막병이 자그마치 댓 병인데, 이제 그만 가지?" 2022. 10. 27. 아나고와 붕장어 “친구야, 아나고회 제철이 언제인지 아니?” 아나고(穴子)의 순화어는 붕장어입니다. 한자로 穴(굴 혈)과 子(아들 자)를 사용하며, 일본어 발음은 아나고(あなご)입니다. “붕장어회 제철은 7월에서 8월이지!” 2022. 10. 2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