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운동 순서3 운동의 기초와 조화로운 식단 : 준비운동(3) 준비 운동에서 진행하는 스트레칭은 정리 운동에서 진행하는 스트레칭과는 다르게 몸을 계속 움직이는 동작들로 구성한다. 예로서, 하체 근육을 스트레칭하는 데 참고가 될만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사이드 투 사이드 런지 골반을 풀어주고 엉덩이와 사타구니 부위의 근육을 이완한다. 주의사항 엉덩이를 최대한 뒤로 빼고, 발바닥이 바닥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자극 부위 넙다리 네 갈래근 종아리 둔근 슬와부근육군 코어 근육 발을 어깨너비의 약 2배 정도로 벌리고 서서 양쪽 발이 정면을 향하도록 한다. 양손을 가슴 높이로 올리고 움켜잡는다. 엉덩이를 뒤로 빼고 한쪽 무릎을 구부리며 구부린 다리에 체중을 싣는다. 이때, 구부린 다리의 종아리는 바닥과 수직을 이룬다. 몸을 일으키지 않고 높이를 유지하면서 체중을 반대쪽 다.. 2023. 10. 12. 운동의 기초와 조화로운 식단 : 준비운동(2) 이어서 팔벌려뛰기와 같이 체온을 높이는 운동을 2~4분 정도 진행한다. 다음 운동들은 속도가 빠를수록 강도가 높아지는데, 준비 운동으로서 강도가 너무 높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후 마지막 단계로서, 당일 운동할 근육을 스트레칭하여 이완한다. 이때, 다친 근육 부위는 스트레칭을 진행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2023. 10. 10. 운동의 기초와 조화로운 식단 : 준비운동(1) 적절한 스트레칭은 운동 능력과 효과를 향상하고, 부상을 방지하므로 꼭 10분 이상 준비 운동을 한다. 준비 운동은 본격적인 운동에 앞서 신체가 움직임에 대비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보낸다. 이는 운동 능력을 높이고,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지방 을 더욱 빠르게 연소하도록 도움을 준다. 주의사항 한국스포츠 정책 과학원에서는 갑작스럽게 몸에 무리를 주지 않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심장에서 먼 순서부터 진행하기를 권고한다. 준비 운동은 부상을 예방하고 운동 후 피로감을 줄여주는 효과도 있다. 순서 손목과 발목 무릎 허리 어깨 목 여기까지 약 2~3분 정도 소요된다. 2023. 10. 8. 이전 1 다음